이만희의 '만추' 찾아야 한다
이만희의 '만추' 찾아야 한다
  • 유지형
  • 승인 2008.05.3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름 없는 ‘영화역사’란 있을 수 없다 / 유지형



[인터뷰365 유지형 특별기고] 한국영화계에서 뜻 있는 몇몇 분들이 지금도 나운규의 <아리랑>(1923) 필름을 찾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한국 영화의 원전이랄 수 있는 <아리랑>은 일제 암흑기 때 만들어져 원본이 유실된 채 한 세기가 흐르도록 한국영화의 상징으로 아로 새겨져 있다. 사실 우리는 나운규 감독이 연출한 수십 편의 영화 중 단 한 편의 필름도 간직하지 못한 부끄러운 역사 속에 살고 있다.



어디 그뿐인가? 이규환 감독의 <임자 없는 나룻배>(1932), 해방직후에 만들어진 이구영 감독의 <안중근 사기>(1946)는 말할 것도 없고, 하다못해 30여 년 전에 만들어진 영화조차 몇 장의 스틸과 시놉시스 혹은 시나리오를 통해 그 작품을 유추해볼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



최초의 시네마토그래프(Cinematograph)로 영화의 효시를 이룩한 뤼미에르 형제의 첫 번째 영화 <기차의 도착> <공장 직공의 퇴근>(1892) 필름은 원본 그대로 보존되어 시네마테크(Cinematheque)를 찾는 사람은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미국영화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리피스 감독이 최초로 12권으로 제작한 <국가의 탄생>(1914)도 가끔 고전영화 감상 코너를 통해 TV에서 방영된다는 사실에 우리는 그저 열등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개인적으로 유실된 한국영화에서 몇몇 보고 싶은 영화(혹은, 다시 보고 싶은 영화)를 든다면 단연 <만추>가 첫 번째다. 영화 <만추>는 1966년에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그해 12월 명보극장에서 상영했다. 또 전국의 극장가에서도 호황이었다. 특히 한국영화를 멀리하던 외국영화 관객까지 극장으로 끌어들였다. 당시 이 영화를 본 문학평론가 이어령은 이런 말로 이 영화를 칭송했다.





“외국에는 잉마르 베르히만(Ingmar Bergman)이 있지만 우리나라엔 이만희 감독이 있다.”



<만추>는 6만 2천 명의 관객을 불러 모으는 흥행을 하고 각종 영화제에서도 수상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런 일들이 이 영화의 원본을 유실시키는 데 한 몫을 했다. 즉 외국 영화제와 해외 배급으로 인한 유출 때문이었는데, 이 영화 원본의 해외유출 과정은 여러 경로로 나눠진다. 홍콩의 극장가로 이 영화가 수출되었고 또 미국의 수출업자가 이 영화를 미국에 배급했다. 이 영화의 제작자 호현찬 씨는 그 미국인 업자의 이름을 기억하고 최근 직접 통화까지 했으나 필름의 존재 여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했다.



<만추>는 또한 제17회 베를린영화제(1967)에 출품되었다. 그런데 당시 필름 수송은 선박 편을 이용해야 하는 관계로 결국 출품 기일이 넘어서 필름이 현지에 도착해 엔트리에 들지 못했다. 그러나 이 영화는 특별 상영 필름으로 공개되었고 또한 프랑크푸르트 영화주간에 일반인에게 상영되어 독일의 각 신문에 대서특필되었다.



다음은 스페인영화제에 출품한 경우이다. 대형 사고는 이 영화제에 영화를 출품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보통 영화제에 작품을 출품하는 경우에는 그 영화의 프린트(원본이 아닌 복사본 필름)를 보내는 것이 원칙이다. 물론 영어 자막이나 그 해당 국어로 번역하여 보낼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영문 시나리오와 함께 프린트를 보내게 된다. 그런 급한 영화제 일정과 프린트를 복사할 비용을 아끼느라 오리지널 네가 필름(Naga Film)을 보낸 것이다. 이 과정에서 네가 필름이 망실되었다. 참으로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 후 근 40여 년이란 긴 세월이 흘렀다. 몇몇 지인들은 이 영화의 네가 필름 혹은 프린트라도 분명 이 지구상 어디엔가 존재한다고 믿고 있다. 그 필름을 찾을 방법은 3,4가지 방향으로 나뉘어 있는 당시의 누출 루트를 역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미국의 수입업자는 혹시 그 필름을 찾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피력했다고 한다. 또 베를린과 스페인의 당시 영화제 관계자에게 묻고 필름 보관소 혹은 보세창고를 뒤져본다면 혹시 이 영화의 필름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도 생각해 본다.



혹자는 북한에 그 필름이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영화광 김정일이 홍콩을 통해 프린트를 입수하여 보관하고 있다는 소문도 있지만 그건 확증이 없는 이야기다. 나는 언젠가 이 영화가 기적처럼 우리 앞에 나타나기를, 그런 날이 언젠가 꼭 오기를 기대한다.




■ 유지형

이만희 감독의 조감독 출신으로 <금홍아 금홍아>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등 30여 편에 달하는 영화 시나리오 작가이자, <됴화> <사라는 유죄>등을 연출한 감독이다. 이만희, 김기영 감독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연구실적과 자료를 가지고 있다.



기사 뒷 이야기가 궁금하세요? 인터뷰365 편집실 블로그

유지형
유지형
press@interview365.com
다른기사 보기


  •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로19길 124 801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37
  • 등록일 : 2009-01-08
  • 창간일 : 2007-02-20
  • 명칭 : (주)인터뷰365
  • 제호 : 인터뷰365 -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최우수상
  • 명예발행인 : 안성기
  • 발행인·편집인 : 김두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문희
  • 대표전화 : 02-6082-2221
  • 팩스 : 02-2637-2221
  • 인터뷰365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인터뷰365 -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최우수상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interview365.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