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진흥위원회 '부산 이전'은 코미디다
영화진흥위원회 '부산 이전'은 코미디다
  • 황기성
  • 승인 2008.02.0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너무 늦었다고 침묵할 것인가? 방법을 찾자 / 황기성


[인터뷰365 황기성] 정치인들은 하나같이 영화를 사랑하는 것처럼 말한다. 그러나 영화발전을 위하여 진실로 걱정하는 정치인은 귀하다. 지금, 영화계 안에서는 정치인들이 만들어 놓고 모두가 책임지지 않는 코미디극이 벌어지고 있어 우려를 금할 수 없다.



영화진흥위원회는 부산으로 가라? 모든 영화 인프라는 ‘서울’에 있는데?



2004년 4월. 노무현 정부는 국가 균형발전법 을 만들어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선언했고 그해 8 월 31일.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발전이 대한민국 발전 전략이다’라는 슬로건을 걸고 공공기관 이전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2012년 혁신도시 건설 및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업이 완료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 위대한(?) 국가계획에 영화 진흥위원회와 영상물 등급위원회가 부산으로 이전하도록, 덤으로 넘어갔다.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는 한국영화 진흥을 위한 연구 실행을 주도하는 예산 2백억 규모의 공공기관이고, 영상물 등급위원회(등급위)는 영화를 비롯한 만화, 게임 등 국민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영상물의 관람자 등급을 결정하는 국가기관이다.



‘영화’는, 태생적으로 대 도시를 기반으로 자생하는 문화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영화를 구성하는 ‘스타’ ‘감독’ ‘제작자’ ‘영화인’ 모두는 서울에 모여 살고 있다. 현재, 한국영화인의 거의 100%가 서울(수도권)에 거주하고 있고, 영화자본(투자사), 1300개의 등록된 영화제작사, 녹음과 믹싱, CG등의 후반작업을 진행하는 영화산업시설들이 서울에 있다. 이 집단을 지원관리 할 목적으로 정부는 영화진흥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1973년 제정된 영화진흥법에 따라 군사정부가 ‘영화진흥공사’를 만들어 영화와 영화계를 쥐락펴락하다가 DJ정부가 ‘영화 진흥위원회’로 명칭을 바꾸고 영화인을 참여 시켜 기구의 역할을 찾고자 노력해 왔다. 지진부진 하기는 했지만 34살이나 된 이 기구가 영화산업발전에 기여한 공적은 분명히 있다.



첫째, 낙후된 후반작업 기술이나 기자재 지원을 통하여 영화발전에 기여하였고 둘째, <영화 아카데미(2년제)>를 운영하며 영화인 인재육성에 성과를 보였으며, 셋째, 영화계의 문제를 모아 중앙행정정부와 대화를 주도해왔다. 그러나 영화기술이 국제수준에 오르고 산업화의 궤도에 진입하면서 기구의 기능이 급속하게 경쟁력을 잃음으로, 새롭게 존립가치를 찾아 보강해야하는 중요한 시점에 와 있었다. 바로 이때, 정치인들이 ‘지방 균형발전’이란 이름으로, 등급위와 함께 책임 없이 (자기들 마음대로) ‘부산’의 지도 위에 떼어 붙인 것이다.



<영화진흥위원회>와 <영상물 등급위원회>가 과연 부산을 발전시킬까?


필자의 식견으로는, 영진위와 등급위의 부산 이전 목적과 예상 성과를 아무리 뜯어보아도 부산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역발전에 효과가 있을 만큼의 규모도 아닐뿐더러, 특히 영진위의 경우는 중앙의 기존시설들을 무리하게 정리처분 하는데서 오는 경제적 손실이 너무 크다. 분명, 이전과 동시에 기구의 역할과 기능은 마비 될 것이며 그러지 않게 하자니 국고만 손실시키는 방법(서울과 부산에 동시 설치) 밖에는 다른 길이 없다.



왜 영화는 서울에 있는데 직결된 공공기구는 부산으로 옮겨야하나? 영화인들은 왜 아무도 이 문제에 대해 말을 하지 않나? 스크린쿼터에 단합을 과시하던 기백은 어디로 숨었는가? 개인에게 물어보면 모두가 반대라면서, 서울 뿐 아니라 부산의 영화 관계자들 까지도 문제의 부당함을 속 깊이 잘 알면서, 왜, 누가, 무엇을 위하여, 이전을 밀어붙이고 있는가.


엉겁결에 일은 저질러졌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정치인, 까닭 없이 벙어리가 되어버린 영화인, 뉴스만 쫒고 문제는 보아주지 않는 언론인들이 이 분명한 3류 저급 코미디를 만들어 버렸다. 이미 정부가 확정하고, 발표해버린 이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정치인들은 한 건 해치우고 모두가 철새처럼 총선 밭으로 떠나버렸는데 말이다.



한국영화 발전 없이 ‘부산 국제 영화제’ 의 발전도 없다.


그럼에도 방법이 아주 없진 않다. ‘부산’이 앞장서 준다면 얽히고설킨 실타래는 풀릴 수도있다. 부산 정치인과 부산 영화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진지한 토론과 이해로 잘못 끼워진 단초를 바로잡아 주어야한다.



‘부산 국제영화제’를 세계 영화제로 성공시키는데 능력을 보인 ‘부산인’들이 큰 그림을 그려주기를 제안한다. 한국영화 발전이 없는 부산영화제는 장래가 없다. ‘부산영화’에 대한 무리한 설계로 한국영화 전체의 흐름을 뒤틀기보다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참된 의미의 공동발전을 찾기에 앞서 주어야한다. 부산국제영화제를 성공시키기 위하여 범 영화인의 협력이 필요했듯이, ‘이전계획’을 어떻게 마무리해야 진실로 한국영화 발전에 정도가 될 것인가를 ‘부산이 판단’ 하고 늦지 않은 시간에 결론 내주어야 한다.


불행하게도, 요즘 팽배하는 지역이기주의에 이런 특수 문제까지를 결부시킨다면 한국영화와 영상산업 발전의 발목을 잡는 큰 실수가 될 것이다. ‘부산인’ 들을 믿는다.



기사 뒷 이야기와 제보 인터뷰365 편집실 (http://blog.naver.com/interview365)

황기성
황기성
press@interview365.com
다른기사 보기


  •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로19길 124 801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737
  • 등록일 : 2009-01-08
  • 창간일 : 2007-02-20
  • 명칭 : (주)인터뷰365
  • 제호 : 인터뷰365 -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최우수상
  • 명예발행인 : 안성기
  • 발행인·편집인 : 김두호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문희
  • 대표전화 : 02-6082-2221
  • 팩스 : 02-2637-2221
  • 인터뷰365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인터뷰365 -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최우수상 .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ress@interview365.com
ND소프트